심상극(Imagery Theatre)을 위한 제작 과정

5월 ~ 7월: 대본 수정 및 리딩

대본은 5월부터 집필이 시작되어, 8차 대본을 공연본으로 올리게 되었다.



8월 1일: 프리프로덕션 회의

기획 의도

 의식의 세계에서는 용인되지 않는 문제들이 있다. 당연한 것, 혹은 받아들여야 할 것들을 말하기에 의식의 세계는 사회 구조 속의 수많은 맥락의 영향을 받고, 언어는 너무 쉽게 고통을 패싱한다.
그러나 우리가 매일 꿈에서 이러한 공포를 마주해야 하고 경험해야 한다면, 그것이 말로는 표현될 수 없고 남에게 받아들여지지 않는 것이라면 우리는 다른 방식으로 서로에게 다가가야 할 필요가 있다.
 각기 다른 몸 속에서, 비슷한 두려움을 품고 살아가는 인간들에게 어쩌면 이미지의 세계는 흐릿하지만 가장 직접적인 소통과 위로의 창구이다. 이를 위해 본 공연은 꿈이라는 인간의 무의식 세계를 무대 위에 그대로 구현하고자 한 것이다.
 꿈은 인간의 감각이 가장 솔직하고 직접적으로 표출되는 세계이며, 나아가 단순히 비현실적 감각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칼 융은 분석 심리학에서 꿈을 통해 다가갈 수 있는 무의식의 영역이 개인의 성장과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공간이라고 주장했다.
꿈의 비현실적 이미지들이 아무 의미가 없는 게 아니라, 개인이 현재 처한 상황과 나아가야 할 길을 알려주는 이정표라는 것이다.


활동

-  꿈 워크샵

기억나는 꿈 나누기
  1. 윤지의 베란다 꿈
가족들이 입이 엄청 큰 남자의 입 안으로 뛰어드는 꿈
-> 지식인에 물어보니 흉조라고 한다

  • 초등학교 때 꾼 공포 꿈
유치원생들 재롱 잔치하는 마을 회관 같은 곳에서 있었는데
팝업북같은 파도 판넬, 사신 판넬들이 낫을 들고 띠용거림.
나는 파도 판넬 속에 파도를 타고 있는 시점으로 꿈을 봄
파도타고 있는 나로서는 이 파도가 너무 크고 무서운데 멀리서 보면 존나 하찮은 것임
이게 하찭은 재롱 잔치인 걸 알아챘을 때 꿈에서 깸

02. 화승- 대서사시 천사 악마 꿈

주인공이 어떤 소년이다

아빠는 알콜중독자 엄마는 자살.

눈이 오는 날에 창문이 열리고 악마가 갑자기 찾아왔다.

오래 전부터 천사vs악마 사이 100년 주기로 스포츠 전쟁이 일어난다.

천사와 악마가 인간 세상에 뿌린 자신의 씨를 찾으러 나가는 꿈... etc

- 챗 지피티에게 물어봐!
You said:
무엇이 꿈처럼 보이게 만드나요
ChatGPT said:
ChatGPT

꿈처럼 보이게 만드는 요소들은 주로 현실과는 다른, 환상적이고 비현실적인 요소들이 결합될 때 나타납니다. 다음은 꿈같은 분위기를 형성하는 주요 요소들입니다:
  1. 비현실적인 설정: 일상적이지 않은 장소나 상황, 예를 들어 공중에 떠 있는 섬, 끝없이 이어지는 계단, 현실에선 불가능한 장면들이 꿈같은 느낌을 줍니다.
  2. 불분명한 경계: 현실과 비현실의 경계가 흐릿해질 때, 예를 들어 주변이 안개로 덮이거나 사물이 흐릿하게 보일 때, 꿈속에서처럼 모든 것이 명확하지 않게 느껴집니다.
  3. 변화무쌍한 장면: 장소나 상황이 갑자기 바뀌거나, 시간과 공간이 왜곡될 때 꿈속의 경험을 연상시킵니다.
  4. 강렬한 감정: 꿈에서는 종종 현실에서보다 훨씬 강렬한 감정이 느껴집니다. 이러한 감정이 장면에 깊이 영향을 미쳐 꿈같은 느낌을 줍니다.
  5. 색채와 조명: 비현실적인 색채, 반짝이는 빛, 그리고 빛과 어둠의 극적인 대비는 꿈에서 경험할 법한 초현실적인 느낌을 제공합니다.
  6. 모호함과 불확실성: 모든 것이 명확하지 않고, 어떤 의미에서는 신비로움이 감도는 경우 꿈같은 느낌을 강화시킵니다.

이러한 요소들이 결합되면 현실과 동떨어진, 환상적이고 신비로운 느낌을 주는 꿈같은 분위기를 만들 수 있습니다.

- 질문 나누기

  1. 어떤 시점에서 그릴 것인가?

화승: 배우가 중간에 퇴장하고 1인칭으로 바꾸는 것도 재밌지 않을까?

배우를 퇴장시키지 않고 배우를 지우는 방식

여자1은 자신의 꿈으로 진입한 것이며-관객은 이 꿈 속에 놓여진 또다른 여자1인 것인가?


  1. 어떤 톤앤 매너를 가질 것인가?

어떤 감각만 존재하는 꿈

어떤 색깔만 존재하는 꿈

  1. 어떻게 공간을 전환할 것인가?

  • 후순위, 장마다 완성해놓고 합치시키는 방식으로 
  • ‘불현듯 비일상적인 것이 들어온다’라는 점을 이 전환 시 적용, 어느 타이밍에 어떤 요소를 배치할 지의 문제?

  • 장면마다 키레퍼런스, 몸의 키워드로서 장면의 틀 정하기
  • 홀: 입 _ 사람이 많은, 꿈으로의 진입, 거꾸로 서있는 사람
  • 복도: 식도
  • 풀과 워터 슬라이드: 배측 미주신경, 복측 미주신경
  • 서류뭉치의 동물병원: 장, 자료가 계속 생성되는 공장과 같은 모습, 노폐물이 쌓이는 곳
    유경이 혹은 수경이 가장 미뤄두고 있던 기억을 만나게 되는

=> 다른 국면의 시작, 자신의 기억을 꺼내는 차원
  • 터널: 망사의 기억을 꺼내는 장소 
  • 벨보이(남자)는 취약한 상태에 있는 여성을 찾아내는 레이더가 있다
  • 사람6은 사람 2가 늙은 모습이다 남성 쪽 의식
  • 자신의 미주신경을 입 안에서 마주함
  • 아이를 만나는 곳이 자궁








9월 1일: 이미지 구현 실험


장면별 무대, 조명, 영상의 공간 표현을 연습 전에 제작.

------------------<제작 과정 일부>------------------
아주 높고 넓은 수영장

키워드 : 탁 트인, 높은, 넓은, 휑한,

  • 바닥 타일 투사(+약간의 트랜지션)
  • 망원경으로 본 워터슬라이드(멀리 있는 느낌이 들어야 함, 거진 안보이게)
  • 조명: 인물만 밝힘


동물병원

  • 동물병원 사무실 배경 위 렉산벽 레이어, (위아래 잘린 비율) 그 앞에 서 있는 인물
  • 유리창 앞 사람(유경이 혹은 수경이)-> 그림자 혹은 실제 사람
  • 조명은 거의 없어도 됨
  • 서류 떨어지는 단순 그래픽이 들어간다면?
  • 유리창 리얼이미지 혹은 그래픽처럼




벨보이의 방

  • 8-1-1) 인물 뒤쪽으로 벨보이의 방문에서 새어 나오는 불빛이 투사되어 점점 다가오기

  • 8-1-2) 조명이 점점 다가오기

  • 8-1-3) 기둥을 포함한 공간 전체를 밝히다가 기둥만 밝혀 배우에게 허용된 공간을 좁히기



물 속

  • 키워드 : 양수, 뭉근한, 뜨듯한, 소용돌이치는, 

  • 라인조명 하얗게 해서 물 속 조명 
  • 화이트 라인은 백월 아래 바닥






10월 12일: 장면 연습 진행


연습 과정은 사전에만들어진 이미지 속에 배우가 어떻게 편입될 수 있는지,  인물로
1. TTS의 사용







11월 4일: 극장 셋업 및 리허설 진행
11월 7일: 공연 ~ 11/13




go to home